Diary강제 백수 3일차. 테스형

스튜디오 디파인

테스형 ~


필라테스형에게 묻고 싶은 여러 가지들



우리 모두 한 번쯤 들어봤던 그 단어, 대기구 필라테스.



필라테스가 어떤 변천사를 가지고 여기까지 왔는지 모르겠지만 우리는 오늘날 대기구 필라테스, 소도구 필라테스를 분류하며 그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기준은 단순하게도 큰 기구 (리포머, 캐딜락 등)를 사용하느냐 안 하느냐에 따라 나뉘는 것 같다. 누군지 몰라도 참으로 이름 하나 잘 짓지 않았나 싶다.



뭐 전통적으로도 큰 기구일수록 내 몸을 서포트해 주고 도움을 주는 것이라 들었다만, 혹자는 기구 필라테스라 하면 기구에 누우면 뭔가 다 해주는지 아는 사람도 있더라는 웃지 못할 일들도 있다. 필라테스가 대유행을 거쳐오면서 정말 많은 회사가 필라테스 기구를 만들고 사라지고를 반복하고 있고 그 와중에 정통성을 가지고 있는 소위 말하는 클래식 기구들을 요새는 다양하게, 예전보다 쉽게 만날 수 있다. 많은 스튜디오에서도 클래식 기구를 사용하고 조금 더 원론에 가까운 필라테스를 가르치기 위해 많이들 노력하고 있는 듯하다.



나는 최근 핫이슈인 나훈아의 테스형을 보며 어떠한 분야이든 어느 정도의 깊이에 들어서고 나면 삶과 철학과 함께 한다는 것을 다시 한번 느낄 수 있었는데, “먼저가 본 그 길은 어떠하던가요.”라고 울부짖는 그의 모습에서 나 역시 필라테스형에게 무언가를 묻고 속 시원한 대답을 듣고 싶었던 게 하루 이틀이었나? 하는 생각이 잠시 스쳤더랬다. 기구 얘기로 다시 돌아가서 뭐 가능하다면 가능한 한 전통에 가깝게 접근하는 게 좋다고 생각하지만, 그 이유의 베이스에는 기구 자체가 나에게 주는 피드백뿐만 아니라, 내 신체의 일부 기관으로서의 감각적 지지, 그 이외에 (필라)테스형이 우리에게 남긴 다양한 이유가 있기 때문이겠지. 그렇다고 해서 테스형이 만들어 놓은 그 기구만을 사용한다고 과연 우리는 테스형의 Work를 이해한다고 할 수 있을까 라고 하는 질문은 늘 남는 것이다.  우리는 결국 테스형이 남긴 유산을 또 다음 세대에게 그렇게 전파하고 있고 그 안에는 우리만의 해석이 묻어지면서 필요한 것들을 간혹 조금씩 변형하기도 하고 또는 그것이 의도적이든 아니든 알맞은 방법론으로 풀어나가는 것이겠지. 그러나 그 해석이 자기중심적이어서는 안되고 환경과 본인 혹은 타인에게도 어떻게 투영하여 바라보고 적용되어 질 것이냐는 숙제는 늘 남는 것이다.




이 간단하고도 또 어려운 필라테스는 왜 내 세상에 들어와 나를 이리 괴롭히는가? 나름 몸땡이 철학을 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나는 또한 테스형에게 묻고 싶은 말이 참으로 많다만, 코로나 팬더믹에 돌이켜보니 이 똑똑한 테스형은 내가 가장 좋아하는 말인 시간은 진보와 동의어라는 명언을 남겼다지. 그래 진보하고 있소이다. 테스형은 과연 진보한 세상에 어떻게 반응하고 대처했을까?



형에게 묻고 싶은 몇 가지 중 또 하나는 왜 정해진 순서가 있나요? 인데 이 질문은 내가 학생들에게 가장 많이 받는 질문이기도 한데 그라면 과연 어떻게 대답했을까? 시간과 역사가 있는 움직임 메소드들의 특징들을 잘 살펴보면 어떠한 루트를 가지고 몸을 협응적이고 복합적으로 단련시키고 있는 구조체라는 형태가 존재하고 있는데 그것이 어떠한 로직으로 만들어졌느냐는 것까지 알기에는 나는 너무 테스형을 늦게 알게 된 듯하다. 그래서 그의 Work를 가장 많이 접했던 가까운 선생님들께 레슨도 받아보고 얘기도 들어보다 보면 몸이 꼬여있던 목걸이 줄이 풀리는 술술 풀려가는 경험을 할 수 있는데 이것을 어찌 척추를 중력에 대입하느냐에 따라 그 형태와 모습이 변해가는 양상을 띠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중력에 대입하는 입으로부터 반중력의 힘을 스스로 얻기까지의 로드맵이라고나 할까? 어디까지나 이것 역시 나의 움직임에 기반한 경험에 의지한 해석일 뿐이다.


하지만 몸을 가볍고 원활하게 쓴다는 말 자체가 반중력의 힘이 길러져서 최적화된 상태라고 한다면, 우리가 매트나 리포머를 순서대로 수행했을 때 느끼는 그 에너쟈틱함이란 그러한 순서대로 중력 대입의 원리에 의해 만들어진 것 일 터이고 그 순서를 행하면서 길러낼 수 있는 스태미나나 지구력은 결국 비상시에 나를 견디게 하는 보조배터리로서, 우리가 얘기하는 면역력의 체계나 정신적인 원동력을 가지게 해주는 또 한 가지의 이점으로 작용하는 듯하다. 많은 사람이 클래식 필라테스를 사랑하는 이유가 또한 여기에 있지 않나 싶다. 에너지를 소비(CONSUME)가 아니라 생산(INVIGORATE)해 내는 그 짜릿함이란 정말 어떠한 것으로도 충족될 수 없는 즐거움일 것이다.



테스형의 Work의 고마움을 요즘 더 느끼고 있는 것이 바로, 방구석 필라테스를 하며 하루하루 팬더믹을 견디고 있는 많은 필라테스인을 보면서이다. 우리는 에너지 생산을 하기 위해 노트북을, 태블릿을 키고 자립적인 또한 어떠한 면에서 약간의 의존적인 줌 클래스 등으로 하루하루 그 즐거움을 또한 찾고 있지 않나. 매트의 고마움을 새삼 느끼는 요즈음이다. 막상 한번 올라가서 기나긴 시리즈의 리포머를 하기 싫을 때도 많지만 그 리포머가 벌써 그립기도 하다.



오늘 저녁은 방구석리포머 시리즈를 해 보아야 겠다. 이가 없으면 잇몸으로 산다고 하였던가~ 집 안에 있는 수건으로 공으로 매트로 혹은 소파나 침대까지…. 어떠한 방법이 되었던 우리가 ‘몸땡이 철학’을 하며 이해할 수 있었던 그의 ‘웍’을 조금 더 본질적으로 기구 없이도 대입할 수 있다면 내가 애증 하는 그 리포머로 다시 돌아갔을 때 조금 더 그 이유와 원리를 깊이 있는 방향으로 이해해 볼 수 있지 않을까? 기록으로 설명으로 제대로는 남아있지도 않은 테스형의 리포머 사진들을 바라보며 문득 생각에 빠져본다. 그가 무슨 얘기를 하고 싶었던 것일까? 무엇을 주려 했던 것일까?




writtend by Kyung Hye, Sinclair

Location

서울시 송파구 가락로 155, 

영진빌딩 301&302호

301&302ho, 155 Garak-ro, Songpa-gu, Seoul

Republic of Korea 



Contact


Tel.  82-(0)2-425-1202

Mobile. 82-(0)10-3052-1202

Email. info@studio-define.com




Location


Add. 서울특별시 송파구 가락로 155, 영진빌딩 3층 301&302호

 301&302ho, 155 Garak-ro, Songpa-gu, Seoul, Republic of Korea 


Contact


Tel. 02-425-1202

Mobile. 82-(0)10-3052-1202

Email. info@studio-define.com